#. 010 비트모아 데이터 :
1) 이진수 <-> 십진수
시간을 계산하는 과정이랑 비슷하다.
2) 1바이트 = 8비트
단일 바이트로는 256개의 구별되는 값을 인코딩할 수 있다.
+ 비트모음의 의미가 상황에 따라 결정된다.
보이는 것만으론 비트의 의미를 식별할 순 없다.
비트의 모음으로 참거짓, 아스키코드문자, 어떤 문자의 일부, 큰수의 일부, 사진과 음악의 일부분, 등 ... 다양하다.
#. 011 요약 : 2진수가 10진수보다 단순하다.
컴퓨터는 왜 십진수 대신 이진수를 사용할까? 물리적인 장치를 만들 때 켜짐과 꺼짐이라는 두 가지 상태만 갖도록 하는 것이 열 가지 상태를 갖도록 하는 것보다 훨씬 쉽기 때문이다.
#. 012 프로세서와 계산기의 다른점 : 독립적인 자체 운영 시스템
프로세서
-수행할 수 있는 기본 연산들의 레퍼토리가 있다.
-연산 결과를 메모리에 저장
-컴퓨터의 나머지 부분을 제어
프로세서가 비록 단순하긴 해도 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것이 중요.
-수나 다른 종류의 데이터에 대해 비교하고 그 결과값을 통해 다음 일을 결정할 수 있고 이로 전체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다.
-계산기 등과 달리 사람의 개입 없이도 작동할 수 있다.
20220603_ClassCastException오류 (0) | 2022.11.08 |
---|---|
싱글턴 (0) | 2022.11.07 |
web was 차이 (0) | 2022.09.07 |
MiPlatform 교육 두째날 데려오기 (0) | 2022.05.06 |
스톡옵션과 연봉협상 (0) | 2021.12.28 |
댓글 영역