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for 변수 in 조건
실행문
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-조건에는
리스트, 문자열, 튜플, 그리고 range() 함수를 사용할 수 있으며
range() 함수를 제일 즐겨 쓰는 듯 하다
-range()함수는 아래처럼 사용한다
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for 변수 in range(start, stop, step)
실행문
- start : 시작
- stop : 끝
- step : 증감값 (생략시 +1)
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-start, stop, step (argument) 중 하나만 지정하면 자동으로 stop 값을 설정한다
나머지 start 와 step 은 자동으로 0, 1로 지정된다.
-argument를 두개 지정하면 자동으로 start 와 stop 값을 설정 하게 되며 증가값은 1로 지정된다.
-range(10) 과 range(0, 10) 과 range(0, 10, 1) 은 동일한 결과이다.
-증가값을 마이너스로 입력시 내림차순으로 반복된다
-for 과 in 사이에 넣는 변수는 range 함수에 맞게 초기화가 되버리니 임의의 변수를 선언해도 무방하다
반복문 돌면서 변수 = start 해서 (증감값 만큼 연산된후) 반복문을 돌아가니
적당히 변수를 잘 선언하자
C와 비교를 해보았다
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python >>
for i2 range(0,10,1)
for i3 range(0,10,n)
c >>
for(i=0, i<=10, i++)
시작
i와 i2 는 0부터 시작해서
끝
i 는 i<=10
i2는 i2 <10
증감
i2+1
i++
반복시
i++ 인 상태로 재시작
i2+1 인 상태로 재시작
i3+n 인 상태로 재시작
즉/ 반복횟수는 끝에 조건에 속하냐 안속하냐이다
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참고로 range() 함수는 clase 로 반환값이 없다
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예제풀이
14>
range 함수와 for 문에대한 연습
range(숫자) 만큼 돌아간다
4>
반복되는 변수와 다른 변수의 차이 관찰
24>
리스트를 넣어보자
리스트가 5개이므로 5번 돌아간다
학생순번(인덱스)에맞춰
index+=1을 해주고
총합과 평균을 구할 0인
변수 total 을 선언하고
for 문 안에서 반복하여 반복이 돌때마다 초기화한다
3>
증감은 생략해도 되지만 한 번 넣어보고싶었다
그리고 end=' ' 를 사용해서 a 를 붙여봤다
9>
붙여서 출력해보았다
마지막 숫자 출력후에 남아있는 , 가 거슬리다면
if 문으로 없애줄 수 있다
20 >
범위 선정후
내림차순으로 출력하기
21>
범위선정후 홀수만 출력
짝수만 출력할 경우 범위 선정을 달리 하면 된다
t 자연수를 입력받고
입력받은 자연수의 배수를 10개 출력하라
42> 곱셈을 활용한 문제풀이
41> 덧셈을 활용한 문제풀이
바로
print( total+ans )
해도 되었겠다
37 >
for 문이 어찌 돌아가나 확인과
end =' ' 사용해보기
39 >
for 과 in 사이에 임의의 변수를 넣어야 하는 이유이다
그 안에 들어가면 반복문에 활용되기 때문이다
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응용풀이
문제는 같이 캡쳐하였다
55>
1<= 검사 <=100
검사한값이 3의 배수일 경우 (3으로 나눴을때 나머지가 0 인 경우 )
total 에 합해준다
아닌경우 for 문 계속 돌리는데
else 문은 없어도 된다
60>
합을 더할 변수에
누적으로 3을 곱한 값을 구 해준다
100이내의 값을 찾았으니
100//3 한 값이 3이라
33번 해줘야한다
구구단 출력
몇단을 하는지 입력받고
입력받은 구구단을 출력하라
74> 입력받은 값 X 1부터 9까지 = 곱한값
해주면된다
변하는 값이자 증감은 1<= x <= 9 이다
구구단 전체 출력
format을 사용하니 가독성이 안좋다
찾아보았지만 format으로 자릿수를 맞춰주는게 없어
가독성을 높이기 위하여 아래처럼 수정하였다
28 과 29 >
구구단은 2단부터 9단까지
1부터 9를 곱한 값이다
몇단부터 몇단까지 ?
89>
5단부터 10단까지라 했지만 20 부터 400 해도 재밌겠다
파이썬으로는 별찍기를 안한다하고 자바를 통해 한다고 한다.
함수 이후부터 더 배우고싶었는데
함수까지만 배운뒤 나머지로 넘어간다고 하여 아쉽다
독학하여 C언어를 더 마스터 하는 것이 더 도움이 될듯 하다
지금 파이썬, DB 수업듣는것도
C언어에 대입하여 생각하니 더 수월하게 풀려나가는 느낌이였다.
[PYTHON] Pandas 개념정리 (0) | 2019.06.28 |
---|---|
[PYTHON] Numpy 개념 정리 (0) | 2019.06.27 |
[PYTHON] 함수 (0) | 2019.06.22 |
[PYTHON] while (0) | 2019.06.22 |
[PYTHON] list (0) | 2019.06.21 |
댓글 영역