연습 & 개념 정리
1
main
public class ObjectMai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String message = new String("hello"); // 정식 표현 // message 를 인스턴스라한다 ( 만들어졌기때문에 ) // 클래스는 존재하기 전 , new 해서 만들어지는게 인스턴스
String a1=""; Student 학생1 = new Student("ㅎㅎㅎ", 2); //클래서명은 글자시작이 대문자
Student 학생2 = new Student(); // 디폴트생성자 = 아무것도 안하고 아무것도 생성 안한 것 //
//호출 && 출력 //학생1.getName() //학생1의 Name을 가져온다 System.out.println( 학생1.getName() ); // Name 출력 //학생1.getNumber() //학생1의 Number을 가져온다 System.out.println( 학생1.getNumber() ); // Number 출력
System.out.println("-----------"); //시험 > 성공 Student 학생3 = new Student("gds"); System.out.println( 학생3.getHi() );
Student 학생4 = new Student(); System.out.println( 학생4.getHello("4 > 안녕") ); System.out.println( 학생1.getHello("학생1 의 안녕") ); a1= 학생2.getHello("ddㅇㄴㅇㄴㅇ"); System.out.println(a1); System.out.println ( 학생1.getHello("d") ); // 값 을 넣어주는 행위, 값을 가져오는 행위
////////////// System.out.println("-----------");
Person 사람1 = new Person(); System.out.println( 사람1.getName() ); System.out.println( 사람1.getAge() );
// 생성할때 세팅하고싶으면 세팅자? 를 걸어준다
}
}
|
class
public class Student {
private String name ; private int number ; private String Hi; private String hello;
public Student() { //Student 학생2 = new Student(); 을 위한 것 // name ="이름없음"; // number = -1; // 위아래는 같은 표현 // 중복시 this 로 가르킬 수 있다
this("이름없음" , -1);
} //생성사 오버로딩 //같은이름의 여러 메소드 만드는 것
//// 생성할때 세팅하고싶으면 세팅자? 를 걸어주는 것 // public Student(String name1, int number1 ) { // name = name1; // number = number1; // } // ////////////////////// // 위와 아래는 둘다 같은 것 public Student(String name, int number ) { this.name = name; this.number = number; }
public String getName() {
// name = "홍길동"; return name; } // String 은 생성후 초기화 하지않으면 null 이 나옴
public int getNumber() {
// number=1; return number; } // 기본 타입은 장소를 가리키고 0 의 값을 가짐 (초기화 안 할 경우)
// //////// 학생3 public Student(String Hi) { //값을 초기화 this.Hi = Hi; } public String getHi() { //값을 리턴 return Hi; }
public String getHello(String hello) { //값을 리턴
return hello; }
}
|
main
import java.util.Scanner;
public class GameMai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Game game = new Game();
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 //게임명을 입력받고 그를 출력하는 걸로 바꾸기
game.setTitle("크아"); System.out.println( game.getState() ); //준비중
game.play(); System.out.println( game.getState() ); //플레이중...
game.stop(); System.out.println( game.getState() ); //정지
game.over(); System.out.println( game.getState() ); //종료
//값을 설정하고 싶으면 set을 사용 (get 은 값을 불러오는 행위)
//외부에서 값을 지정해주고, 이외로 값이 변경되는건 안좋지만
System.out.println( game.getTitle() ); // game.setTitle("에서 입력한 값이 나온다");
}
}
|
class
public class Game {
private String play; private String title;
public Game(){ play = "준비중. . . "; title = ""; }
public String getState() { return play; }
public void play() { play = "플레이중"; }
public void stop() { play = "\n - - 정 지 - - ";
} public void over() { play = " - - 게임 종료 - - ";
} public String getTitle() { return title ;
}
public void setTitle(String str) { title = str; }
}
|
main
public class FruitSellerMai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FruitSeller seller = new FruitSeller();
System.out.println( seller.getAppleNum() ); //총 갯수 20개;
int seleNum = seller.saleApple(1000); // seleNum 는 판매된 개수를 받을 변수
System.out.println( seller.getAppleNum() ); // 총 갯수 19개;
System.out.println( seleNum ); //판매량 1개 ;
System.out.println( seller.showSaleResult() ); //남은 사과량과 판매수익 출력
}
}
|
class
public class FruitSeller {
// 필드는 변수 선언 private int My_money; // 받는 금액 private int apple_num; // 사과 개수 private static final int APPLE_PRICE = 1000; // final 이 변수로 붙으면 상수로 작동 // 상수의 변수명은 대게 대문자로로 작성하여 구분짓는다
// private int g_apple_num; // 판매될 사과 갯수
public FruitSeller() { // 초깃값 apple_num = 20; // 사과 갯수 20개로 시작 }
public int getAppleNum() { // 사과갯수 반환 & 출력
return apple_num; }
public int saleApple(int money) { // 사과 판매 & 가격계산
// 받은 금액 과 사과 갯수를 계산하기
int g_apple_num = money / APPLE_PRICE; // 판매될 사과 갯수 My_money+=money; apple_num -= g_apple_num;
return g_apple_num; }
public String showSaleResult() { //남은 사과량과 판매수익 출력
String result = ""; result += "남은 사과 : " + apple_num + " 개\n"; result += "판매 수익 : " + My_money + "원\n";
return result ; } }
|
c 언어의 포인터와 구조체를 섞은 느낌이다
왔다갔다 하는게 복잡해 보일 순 있으나 하는 중에는 매우 즐거웠다
이는 수업시간에 한 내용을 그대로 올리며
이후 수정+공부 해서 정리본을 올릴 생각이다
[Java] [알고리즘] 문제풀이 , 연습문제 풀이 (0) | 2019.07.10 |
---|---|
[Java] 알고리즘 문제풀이, 연습풀이 (0) | 2019.07.10 |
[Java] 자바 배열 문제풀이 & 연습풀이 (0) | 2019.07.06 |
[Java] 배열 선언방법, 개념정리, 초기화방법 (0) | 2019.07.05 |
[Java] rand 값 사용방법 (0) | 2019.07.05 |
댓글 영역